코틀린 심화10 - 함수형 프로그래밍
1급 객체 코틀린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활용할 때, 함수를 주로 1급 객체 로 다루게 된다. 1급 객체란 함수를 변수에 저장하거나, 매개변수로 전달하거나,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를 말한다. 코틀린에서 함수를 1급 객체로 다루기 위해서는 람다식을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해야한다. val printHello: () -> Unit = { p...
1급 객체 코틀린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활용할 때, 함수를 주로 1급 객체 로 다루게 된다. 1급 객체란 함수를 변수에 저장하거나, 매개변수로 전달하거나,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를 말한다. 코틀린에서 함수를 1급 객체로 다루기 위해서는 람다식을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해야한다. val printHello: () -> Unit = { p...
try-catch 코틀린에서 try-catch 문을 사용 시에 catch문의 마지막 줄을 반환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. fun getStr(): Nothing = throw Exception("예외 발생 기본 값으로 초기화") fun main() { val result = try { getStr() // 예외 발생 } catch (...
스코프 함수 코틀린에서 스코프 함수란 람다 함수를 실행하여 객체의 속성을 사용하거나 객체의 함수를 수행할 수 있으며, 값 or 객체를 반환해주는 함수를 말한다. 스코프 함수는 let, run, with, apply, also 가 있다. let 코틀린 스코프 함수 중 let 함수는 null 이 아닌 객체에 대해 블록 내부에서 it을 사용하여 객체의...
Pair 코틀린에서 Pair 클래스는 두 개의 값을 담는 컨테이너로 사용된다. data 클래스 기반으로 구현되었으며, first, second 프로퍼티를 사용하여 값을 가져올 수 있다. Pair 클래스는 data 클래스에서 제공하는 함수 외에도 to, toList 함수를 제공한다. val pair = Pair("A", "B") println(pai...
lateinit(지연초기화) 코틀린에서 lateinit 키워드는 클래스의 프로퍼티를 객체 생성시점이 아닌 그 이후에 초기화할 때 사용한다. lateinit은 var 가변변수에만 선언 가능하며, non-null 타입으로 선언해야 한다. class LateInit { // lateinit은 var로 선언해야 하고, non-null 타입으로 선언 ...
요구사항 분석 목적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계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수집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개발할 데이터베이스의 용도를 파악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가 무엇인지, 그 데이터에 어떤 처리가 필요한지 등을 고려 주요 작업 사용자 범위 결정 :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주요 사용자의...